서양철학
- 서양근대교육철학
- 서양근대철학회l초판 2021.08.25l발행 2021.08.25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32,000원 적립금 1,600원 (5% 적립)
-
"서양근대철학자들의 교육철학에 대해 고찰하다"
교육철학자의 교육철학이 아닌, 근대 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은 어떠하였을까?
근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교육이란 무엇이고 교육철학의 본래적 목적은 무엇...
- 그리스 지도자들에게 고함
- 김헌l초판 2017.12.30l발행 2017.12.30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문명텍스트
-
19,000원 적립금 950원 (5% 적립)
-
그리스 최고의 수사학 교사 이소크라테스, 그리스 지도자들에게 편지로 외치다
기원전 4세기에 그리스 아테네에서 활동했던 이소크라테스가 쓴 아홉 통의 편지를 번역하고 해설한 주해서. 당시 그리스 여러 도...
- 덕의 귀환(서양편)
- 송유레l초판 2017.04.30l발행 2017.04.30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문명공동연구
-
32,000원 적립금 1,600원 (5% 적립)
-
이 책은 동양편과 서양편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마다 덕윤리의 역사적 전개에서 중요하고 주목할 만한 시각을 제시한 철학자들을 다룬다. 동양편에서는 일곱 명의 철학자를, 서양편에서는 다섯 명의 철학...
- 헤겔과 시민사회
- 박배형l초판 2017.03.25l발행 2017.03.25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문명텍스트
-
23,000원 적립금 1,150원 (5% 적립)
-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시민사회를 읽다
헤겔의 『법철학』 제3부 2장 「시민사회」를 번역하고 해석한 이 책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가 직접적이라면 다른 하나는 간접적인데, 전자는 헤겔이 묘...
- 존재와 예술
- 염재철l초판 2014.07.31l발행 2021.07.25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30,000원 적립금 1,500원 (5% 적립)
-
“철학은 사유하는 현존재에게 있어서 완전히 다른 영역과 서열 속에 놓여 있다. 철학과 그 사유에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단지 예술뿐이다.”
한때 자신의 ‘존재사상’으로 서구 전체 사상사를 해체하고 ...
- 하이데거(신판)
- 박찬국,이수정l초판 2013.04.10l발행 2017.02.25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20세기 문명연구총서
-
25,000원 적립금 1,250원 (5% 적립)
-
- 플루타르코스의 모랄리아
- 허승일l초판 2012.09.25l발행 2012.09.25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43,000원 적립금 2,150원 (5% 적립)
-
영웅전으로 유명한, 역사가이며 전기 작가, 수필가이며 연설가, 중기 플라톤주의자인 플루타르코스의 모랄리아(교육 ․ 윤리 편) 헬라스어 원전이 상세한 역주와 함께 ...
- 반실재론을 넘어서서
- 배식한l초판 2009.05.08l발행 2009.05.08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13,000원 적립금 650원 (5% 적립)
-
-
EVENT
- 서양철학의 이해
- 이남인l초판 2011.09.30l발행 2023.01.30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기초교양교육 시리즈
-
19,500원 적립금 975원 (5% 적립)
-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서양 철학 2,500년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철학자 17명을 만나다.
이 책은 서양 철학 2,500년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철학자 17명을 선정해 그들의 ...
REVIEW
-
[리뷰] 정의의 천칭, 그 영점을 다시 맞추다
법을 상징하는 정의의 여신상은 반드시 한 손엔 저울을 들고 있다. 이 저울은 양쪽의 상대적인 무게를 가늠하는 천평칭 저울로서, 개인의 권리관계에 대한 다툼의 해결이자 정의의 상징이다. 그러나 마이크로그램 단위까지 측정하는 미세한 전자저울을 상시 사용하는 과학도가 되면서부터 여신의 저울과 정의에 의문을 품게 되었다. 전자 저울은 한 번 사용할 때마다 0점을 버튼을 눌러 완벽한 평형을 이루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만 화학물질의 정확한 값을 측정하여 원하는 화학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그런데, 상대적인 무게를 가늠하는 천평칭 저울로는 어떻게 권리의 무게를 세심하게 잴 수 있을까. 만일 저울이 잘못 만들어져 있다면 어떠할까. 무게중심이 애초에 기울어 있다면?
“애초에 정의를 가르는 평등의 기준에 오류가 있었다면 어떠할까”. 페미니즘 법학은 유구한 역사의 남성중심적 법학에 반기를 들며, 특히 저울로 대변되는 ‘권리의 평
-
제임스 O.영 저의 <예술과 지식(Art and Knowledge)>의 첫 장은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책을 시작한다. 이 책은 예술의 정의, 재현의 정의와 유형들, 탐구로서의 예술, 예술의 미적 가치, 그리고 예술과 지식에 대한 이야기를 5장에 걸쳐서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본질적으로 우리가 예술을 통해 어떠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1장에서 제임스 영은 어떤 것이든 예술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최근 사례들로 보면 예술이라는 것을 정의내리고 분류하는 것은 참 힘들다는 것, 그리고 이와 더불어 예술가라는 것이 특정 인물만 가질 수 있는 직업이 아니라는 것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예술은 과연 예술인가? <예술과 지식>은 이러한 질문들을 던지고, 동시에 답을 하며 독자들에게 예술의 가치를 전하며 문학, 미술, 음악 등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예술에서 그 예시를 들려준다.
-
기린 그림이 ‘기린’ 그림인 이유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오종환 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를 읽고-
-‘기린 그림’의 수수께끼
“‘내가 그린 기린 그림’은 어떻게 해서 기린의 그림이 되는 것일까?” 말장난같은 이 문장 안에 담긴 함의는 보이는 것만큼 가볍지 않다. 당연하게 향유하다가도 생각해 보면 참으로 종잡기 어려운 것이 ‘시각적 재현(representation)’이라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종이 위의 연필 자국을 보면서 이것이 기린이라는 동물이라는 걸 알 수가 있는 걸까? 대상과 닮아서? ‘닮음’은 무엇인가? 3차원의 대상과 2차원의 그림은 명확히 다르지 않나? 또한 우리는 실제와는 전혀 다르게 단순화, 과장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심지어 선 몇 개로 이루어진 ‘막대인간’을 보고도 무언가를 재현했다고 느끼지 않는가? 또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인물이나 동물을 그린 그림을 보고 왜 우리는 그것을 경험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무언가를 ‘재현’했다고 느끼는가?
-
요즘과 같은 취업난 속에서 세계로 뻗어 나간다거나 미래를 개척한다거나 하는 이야기는 너무 이상적인 이야기일 뿐이고 지금의 대학은 어차피 취업흥신소에 불과하다고 힐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 보여주는 오연천 전 총장의 이야기는 그런 것과는 다른 이야기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지금도 많은 학생이 대학을 바라보고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대학의 가치를 재고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아직 초등, 중등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오연천 전 총장의 이야기를 듣고 앞으로 대학에서의 나의 모습을 생각해보는 것에, 대학에 다니고 있거나 졸업한 사람들은 오연천 전 총장이 바랐던 대학의 모습과 자신이 대학생으로서 보고 느꼈던 많은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더 나은 자신을 발견하고 가꾸어나간다는 점에 의의를 두었으면 한다. 대학만능론이 아니라, 대학이 가진 본연의 가치를 오연천 전 총장의 이야기를 통해 새롭게 발견하고 거기에서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도서 구입문의
02-889-4424
평일: 오전 09:00 ~ 오후 06:00
점심: 오후 12:00 ~ 오후 01:00
무통장 입금정보
079-01-342071
농협
예금주: 서울대출판문화원